반응형 그 외 이야기, 일상 기록하기18 2022년 청년 월세지원 / 전세대출 사업 정책 2022년을 맞아 기획 재정부에서 청년층의 자산형성은 물론 주거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세제상의 다양한 공제·감면 및 비과세 혜택을 지원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소득별로 다양한 청년 정책들이 신설되었는데 연소득 1400만원 이하 : 무주택 청년 월세 지원사업 연소득 2400만원 이하 : 청년 내일 저축 계좌 연소득 2800만원 이하 : 청년 취업 지원금 연소득 3600만원 이하 : 청년 희망 적금 연소득 5000만원 이하 :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 청년전용 보증부 월세대출 연소득 7000만원 이하 : 청년 맞춤형 전세대출 소득 조건 없음 : 청년 마음 건강 바우처 이렇게 여러가지 소득별로 청년 정책을 발표했는데요. 조금만 더 어릴때 이런 제도를 알았다면 더 좋았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아요. 이런 정보들도 .. 2022. 1. 3. 2022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 신청 조건 / 혜택 / 가입 방법 중소, 중견 기업에서 일하는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돕는 제도가 1년 연장해 2022년 말까지 시행한다고 중소벤처기업부에서 발표했다. 중소, 중견기업에 장기근속하는 청년 재직자들을 위해 만든 제도인데 만 34살 이하에게만 해당이 된다. 5년동안 720만원을 저축하면 2280만원을 지원해서 총 3,000만원을 수령하게 되는 제도이다. 청년·기업·정부가 함께 적립 -> 5년 근속 시 3천만원 자산형성 청년 : 5년간 720만 원 적립(최소 월 12만 원 × 60개월) 기업 : 5년간 1,200만 원 적립(최소 월 20만 원 × 60개월) 정부 : 3년간 1,080만 원 적립(3년간 7회 분할 적립) 세제혜택 : (청년) 기업 납입분에 대한 근로소득세 감면(50%) (기업) 기업 납입분은 전액 손금산입 및 세액.. 2022. 1. 2. 2022년 청년희망적금 /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 소득별 청년 정책 2022년을 맞아 기획 재정부에서 청년층의 자산형성은 물론 주거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세제상의 다양한 공제·감면 및 비과세 혜택을 지원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소득별로 다양한 청년 정책들이 신설되었는데 연소득 1400만원 이하 : 무주택 청년 월세 지원사업 연소득 2400만원 이하 : 청년 내일 저축 계좌 연소득 2800만원 이하 : 청년 취업 지원금 연소득 3600만원 이하 : 청년 희망 적금 연소득 5000만원 이하 :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 청년전용 보증부 월세대출 연소득 7000만원 이하 : 청년 맞춤형 전세대출 소득 조건 없음 : 청년 마음 건강 바우처 이렇게 여러가지 소득별로 청년 정책을 발표했는데요. 조금만 더 어릴때 이런 제도를 알았다면 더 좋았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아요. 이런 정보들도 .. 2022. 1. 1. 2022년 공무원 월급표 / 인상된 공무원월급 한달에 얼마벌까 2022년 일반직 기준으로 인상된 공무원 월급표입니다. 수당을 제외한 봉급이고 작년 대비 1.4% 인상되었습니다. 여기서 세금까지 떼야하니 공무원연금, 건보, 소득세 제하면 정말.. 박봉은 박봉입니다. 아무리 정년이 보장되어 있다고 하지만요. 9급 1호봉이 160만원대니.. 세금까지 하면 답이 없긴 없네요. 연금도 예전만큼 메리트가 없다고하니.. 그냥 젊을때 돈되는일 다하고 그돈으로 재테크나 하는게 나을까요. 저도 원래 하던 일에 회의감을 느끼고 1년 정도 9급 공무원 공시준비를 잠깐 했었지만, 결국 1월에 허리디스크 수술하게되어 4월 시험조차 못봤지요.. 저는 체력시험도 중요한 직급이었어서 그냥 깔끔하게 포기했네요. 동네 독서실인데도 그렇게 공부하는 사람들이 가득했는데 저사람들이 다 내 경쟁자들이다. .. 2021. 12. 30.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