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차트 매매 지표 공부하기36

거래량과 매물대 _ 거래량의 중요성 캔들은 후행성 거래량은 선행성이다. 차트에서 시세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거래량이다. 캔들이나 이평선, 보조지표들은 웬만해서는 거의 과거의 기록을 바탕으로 형성되는 후행성에 가깝지만 거래량만큼은 선행성에 가깝다고 볼수있다. 가격은 수요에 의해 결정되며 매수하고 싶어 하는 투자자가 많으면 당연히 시세는 상승하고 매도하고 싶어하는 투자자가 많으면 가격은 당연히 하락을 한다. 보통은 바닥권에서 거래량의 증가는 상승을 예고한다. 상투권 시세에서의 거래량 증가는 하락을 예고한다. 이것은 거래량의 증가는 추세의 변화를 의미하기도 한다. 보통 주가가 상승하려면 거래량이 증가하게 된다. 매수자들은 가격이 오르면 매도해서 얼른 수익을 실현하고자 하는 욕구가 커지는데, 그러나 상승한 상태에서 매도 물량을 누.. 2022. 2. 19.
갠 이론 갠팬 보조지표활용 매매하기 Gann 갠 이론 갠 이론은 20세기 초반의 윌리엄 갠이라는 트레이더에 의해 개발되었다. 윌리엄 갠은 평균 매매 성공률 80~90%를 자랑하는 전설적인 미국의 트레이더로 알려져 있다. 갠 이론은 전통적인 차트 분석 이론을 기본으로 가지고 있다. 갠은 미래의 저항과 지지영역으로 작용할 역사적인 고점과 저점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했다. 쉽게 말하면 붕괴된 저항선은 지지선이 되고 지지선이 붕괴되면 저항선이 된다고 생각했다. 갠 이론은 시간과 가격을 수학적 기하학적으로 조합한 이론으로 추세를 분석하였다. 윌리엄 갠의 시대에는 컴퓨터가 개인용으로 주가 분석으로 사용되던 시대가 아니라서 그는 모눈종이에 차트를 그리면서 이론을 만들었다. 갠 이론에서 중요한 고점이나 저점에서 시간과 가격의 1대 1 대응으로 고점이나 저.. 2022. 2. 4.
다이버전스 패턴으로 추세전환 확인하기 다이버전스 Divergence 차트에서 볼 수 있는 패턴 같은 종류인데 추세의 전환을 예고하는 패턴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다이버전스를 잘 활용하면 추세전환의 순간을 포착하여 좋은 포지션을 잡기에 유리하다. 다이버전스는 쉽게 상승 다이버전스와 하락 다이버전스로 볼 수 있는데 말 그대로 상승다이버전스는 곧 상승추세를 예고 하락다이버전스도 하락이 시작될 거라는 것을 미리 예고하는 패턴이라고 보면 된다. 다이버전스는 보통 RSI지수로 된 다이버전스를 많이들 선호하는 것 같다. 하락 다이버전스 - 가격의 고점은 계속 상승하는데 반대로 RSI지수의 고점은 반대로 하락하는 것 상승 다이버전스 - 가격의 저점은 계속 낮아지는데 반대로 RSI지수는 저점은 반대로 올라가고 있는 것 일반 다이버전스는 추세의 끝에 보통 나타.. 2022. 1. 25.
비트코인 이틀동안 -20% 폭락장에 살아남기 1월 22일 BTC가 34만 달러까지 폭락하며 시장에 공포감을 주고 있다. 일일 RSI는 2020년 3월 이후 가장 낮은 20을 기록, 과매도 상태를 나타냈다. 최고가 69k 대비 비트코인은 현재 34k까지 하락해 -50% 정도의 하락을 한 상태이다.악재들이 나오지만 솔직히 상승장에는 악재도 무시되고 하락장에는 호재도 무시되기 때문에 그냥 많이 상승한만큼 내려오는 것 같은데 하락장 시작인지 아직 조정인지는 모르는 상태. 40k 35k 가면 매수하겠다 하던 사람들도 어느새 28k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시장에 공포감이 만연하다. 이틀 동안 20%씩이나 그냥 냅다 꽂으니까.. 공포에 떨 수밖에 없는 시장인데 정말 반등이 1도 없다;;;; 약간의 숏 익절 후 롱으로 대응하다 손절만 몇 번을 쳤는지.. 마진 하는.. 2022. 1. 23.
자금관리와 리스크의 중요성_손절매 트레이딩 공부하기. 이기는 매매를 위해서는 자금관리와 리스크 관리는 필수이다. 시장에 참여하는 많은 사람들이 매수 매도의 적정한 타점을 잡으려고 많은 공부를 하고 연구를 하는데 자금관리와 리스크 관리는 소홀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많다. 자금관리는 자신의 트레이딩 자금을 정하고 절대 파산하지 않는다는 전제로 자금을 운용해야 한다. 리스크 관리는 거래할 때마다 손해 볼 때 본인이 감내해야 할 리스크를 확인하는 것 보통 사람들은 리스크는 안 좋은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투자를 할 때 리스크가 높은 것과 낮은 것이 있으면 당연히 낮은 것을 고르려고 하고 리스크가 낮거나 아예 없는 것 중에 고르라고 하면 없는 상품을 고를 것이다. 그에 반해 이기는 트레이더들은 리스크가 있는 투자상품을 선택하고 감당할 수 있는 수준에서.. 2022. 1. 21.
시간과 복리의 힘 - 일복리 계산기 시간과 복리의 중요성을 알고 있는가 투자를 시작하면 누구나 빨리 큰 수익률을 내고 부자가 되는 꿈을 꾼다. 특히나 크게 한 번씩 돌아오는 대상승장에 주식이나 코인에 발을 들여서 쉽게 큰 수익률을 맛보게 되면 더욱 그렇다. 1~2% 수익은 크게 먹은 것 같지도 않게 느껴지고 20~30% 수익률을 보면 100% 돼서 두배가 되면 매도해야지 하는 욕심을 부리게 된다. 투자의 귀재로 엄청난 부를 이룬 워런 버핏도 연평균 수익이 21% 정도이다. 1965년부터 2014년까지 연평균 수익을 꾸준히 거뒀으며 1,826% 수익률인 셈인데 심지어 그의 자산의 90%도 65세 이후부터 급격하게 커졌다. 이것도 복리와 시간의 힘이다. 피터린치도 연평균 29%라고 한다. 코인 시장의 엄청난 괴물로 알려진 워뇨띠도 600만 원.. 2022. 1. 15.
차트의 추세선-지지선과 저항선그리는 법 추세는 한번 진행되면 추세가 깨질 때까지 변하지 않는 특성이 있다. 추세선이 깨질때까지 흐름을 타서 수익을 내는 것이 중요한데 언제 갑자기 추세의 반전이 일어날지 모르기 때문에 추세분석을 잘해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점에서부터 선을 긋는 상승 추세선이고 지지선이라고 봐도 된다. 고점에서부터 선을 긋는 하락 추세선이고 이 선은 저항선이 된다. 사진출처_바이낸스아카데미 추세선의 길이는 길이가 길수록 신뢰도가 높다고 본다. 추세점은 최소 2개의 점을 기준으로 선을 긋지만 3번째점이 형성될 때는 추세가 전환될 가능성도 대비해야 하고 만약 4개 이상 추세점이 형성이 되면 추세선 길이가 길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추세의 신뢰도는 커진다. 추세선의 각도가 가파른경우는 급등주처럼 갑자기 하락하는 반전을 보이기 쉬우니.. 2022. 1. 15.
반응형